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핵심 가이드

by 오늘의 테크 2025. 8. 17.

전통적 방법론 vs 애자일

폭포수 모델 (Waterfall)

  • 순차적 진행: 요구사항 → 설계 → 개발 → 테스트 → 배포
  • 장점: 명확한 계획, 문서화 체계적
  • 단점: 변경 어려움, 늦은 피드백

애자일 (Agile)

  • 반복적 개발: 짧은 주기로 지속적 개발
  • 고객 중심: 빠른 피드백과 지속적 개선
  • 변화 대응: 계획보다 변화에 신속 대응

애자일 핵심 원칙

애자일 선언문 (4가지 가치)

  1. 개인과 상호작용 > 프로세스와 도구
  2.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 포괄적인 문서
  3. 고객과의 협력 > 계약 협상
  4. 변화에 대응 > 계획을 따르기

12가지 원칙

  • 고객 만족을 위한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 조기 지속 배포
  • 변화하는 요구사항을 환영하고 경쟁 우위로 활용
  • 2주~2개월 주기로 작동 소프트웨어 배포
  • 비즈니스 담당자와 개발자 일상적 협력
  • 동기부여된 개인 중심 팀 구성

스크럼 (Scrum)

스크럼 기본 구조

역할 (Roles)

  • Product Owner: 제품 비전 정의, 백로그 관리
  • Scrum Master: 프로세스 지원, 장애물 제거
  • Development Team: 실제 개발 담당 (3-9명)

이벤트 (Events)

  • Sprint: 1-4주 개발 주기
  • Sprint Planning: 스프린트 목표와 작업 계획
  • Daily Scrum: 15분 일일 진행상황 공유
  • Sprint Review: 완성된 기능 시연
  • Sprint Retrospective: 프로세스 개선 논의

산출물 (Artifacts)

  • Product Backlog: 기능 우선순위 목록
  • Sprint Backlog: 스프린트 내 수행할 작업
  • Increment: 스프린트에서 완성된 기능

스크럼 프로세스

  1. Product Backlog 작성: 사용자 스토리 형태로 기능 정의
  2. Sprint Planning: 2-4주 스프린트 계획 수립
  3. Daily Scrum: 매일 15분 진행상황 공유
  4. Sprint Review: 이해관계자에게 결과 시연
  5. Retrospective: 팀 프로세스 개선 방안 논의

칸반 (Kanban)

칸반 핵심 원리

  • 시각화: 작업 흐름을 보드로 표현
  • WIP 제한: 진행 중 작업량 제한으로 병목 해결
  • 흐름 관리: 작업 처리 속도 최적화
  • 지속적 개선: 리드타임과 처리량 개선

칸반 보드 구성

기본 컬럼: To Do → In Progress → Done 고급 컬럼: Backlog → Ready → Develop → Test → Deploy → Done

칸반 vs 스크럼

  • 칸반: 지속적 흐름, 고정 주기 없음
  • 스크럼: 스프린트 기반, 고정된 이벤트

사용자 스토리 작성

기본 형식

"**[사용자]**로서 **[기능]**을 원한다. [이유] 때문이다."

예시

  • 온라인 쇼핑몰 고객으로서 장바구니 기능을 원한다. 나중에 구매하기 위해서다.
  • 관리자로서 주문 현황을 조회하고 싶다. 배송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다.

INVEST 원칙

  • Independent: 독립적
  • Negotiable: 협상 가능
  • Valuable: 가치 있는
  • Estimable: 추정 가능
  • Small: 작은 단위
  • Testable: 테스트 가능

추정 기법

스토리 포인트

  • 상대적 크기 측정 (절대시간 아님)
  • 피보나치 수열 사용 (1, 2, 3, 5, 8, 13...)
  • 복잡도, 노력, 불확실성 종합 고려

플래닝 포커

  1. 각자 추정값을 카드로 제시
  2. 차이가 클 경우 토론
  3. 합의될 때까지 반복

번다운 차트

  • 남은 작업량을 시간별로 추적
  • 진행 속도와 완료 예상일 파악
  • 스프린트/릴리즈 단위로 작성

데브옵스 (DevOps)

핵심 개념

  • 개발(Development) + 운영(Operations) 통합
  • 지속적 통합/배포 (CI/CD)
  • 자동화와 모니터링 중시

CI/CD 파이프라인

지속적 통합 (CI)

  1. 코드 커밋
  2. 자동 빌드
  3. 자동 테스트
  4. 피드백

지속적 배포 (CD)

  1. 자동 배포
  2. 모니터링
  3. 롤백 체계

SAFe (Scaled Agile Framework)

대규모 애자일

  • 여러 팀이 협력하는 대기업 환경
  • 포트폴리오 → 대규모 솔루션 → 필수 → 팀 레벨

핵심 요소

  • ART (Agile Release Train): 50-125명 팀 집합
  • PI (Program Increment): 8-12주 계획 주기
  • SAFe Big Room Planning: 전체 팀 합동 계획

도구와 플랫폼

프로젝트 관리 도구

Jira: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애자일 도구

  • 스크럼/칸반 보드 지원
  • 백로그 관리, 스프린트 계획
  • 리포팅과 대시보드

Azure DevOps: 마이크로소프트 통합 플랫폼

  • 작업 항목 추적
  • Git 리포지토리 통합
  • CI/CD 파이프라인

기타 도구

  • Trello: 간단한 칸반 보드
  • Monday.com: 시각적 프로젝트 관리
  • Asana: 팀 협업 도구

커뮤니케이션 도구

  • Slack, Microsoft Teams: 실시간 소통
  • Confluence: 문서 협업
  • Miro, Figma: 화상 협업 보드

실무 적용 가이드

애자일 도입 단계

  1. 팀 교육: 애자일 원칙과 방법론 학습
  2. 파일럿 프로젝트: 작은 프로젝트로 시작
  3. 도구 선택: 팀에 맞는 관리 도구 도입
  4. 프로세스 개선: 회고를 통한 지속적 개선
  5. 조직 확산: 성공 사례를 다른 팀에 전파

성공 요소

팀 문화

  • 투명한 커뮤니케이션
  • 실패를 통한 학습 문화
  • 지속적 개선 마인드

리더십

  • 변화에 대한 지원
  • 팀 자율성 보장
  • 장애물 제거

주의사항

  • 모든 프로젝트에 애자일이 적합하지 않음
  • 규제가 많은 산업은 전통적 방법론 고려
  • 점진적 도입이 급진적 변화보다 효과적
  • 도구보다 사람과 프로세스가 우선

하이브리드 접근

상황별 선택

  • 명확한 요구사항: 폭포수 모델
  • 변화하는 요구사항: 애자일/스크럼
  • 지속적 운영: 칸반
  • 대규모 조직: SAFe

혼합 적용

  • 계획 단계는 전통적 방법론
  • 개발 단계는 애자일 적용
  • 팀별로 다른 방법론 선택

애자일과 스크럼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현대적 프로젝트 관리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