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 기본 개념
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개발자들이 코드 변경사항을 자주 통합하는 개발 방식
- 코드 커밋 시 자동 빌드/테스트 실행
- 빠른 피드백으로 문제 조기 발견
- 통합 지옥(Integration Hell) 방지
CD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지속적 배포: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프로덕션에 배포
- Continuous Delivery: 수동 승인 후 배포
- Continuous Deployment: 완전 자동 배포
DevOps와의 관계
- 개발(Dev)과 운영(Ops) 간 협업 강화
- 자동화를 통한 배포 주기 단축
- 안정성과 배포 속도 동시 확보
CI/CD 파이프라인 단계
1. 소스 코드 관리
Git 브랜치 전략
- Git Flow: feature → develop → release → main
- GitHub Flow: feature → main (단순화)
- GitLab Flow: 환경별 브랜치 관리
커밋 규칙
- 작은 단위로 자주 커밋
- 의미 있는 커밋 메시지
- 브랜치별 역할 명확화
2. 빌드 (Build)
소스 코드 컴파일
- 의존성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 코드 컴파일 및 패키징
- 아티팩트 생성 (JAR, WAR, Docker 이미지)
빌드 도구
- Java: Maven, Gradle
- Node.js: npm, yarn
- Python: pip, poetry
- C#: MSBuild, dotnet CLI
3. 테스트 (Test)
테스트 단계별 분류
- Unit Test: 개별 함수/메서드 테스트
- Integration Test: 모듈 간 연동 테스트
- E2E Test: 전체 시나리오 테스트
테스트 자동화
- 코드 커버리지 측정
- 테스트 실패 시 빌드 중단
- 병렬 테스트로 시간 단축
4. 정적 분석
코드 품질 검사
- SonarQube: 코드 품질 분석
- ESLint: JavaScript 코드 스타일
- CheckStyle: Java 코딩 컨벤션
보안 스캔
- 취약점 스캔 (SAST/DAST)
- 의존성 라이브러리 보안 검사
- 비밀키 하드코딩 검출
5. 패키징
아티팩트 생성
- 실행 가능한 패키지 생성
- Docker 이미지 빌드
- 버전 태깅
아티팩트 저장소
- Nexus: Java 중심 저장소
- Artifactory: 다양한 언어 지원
- Docker Hub/ECR: 컨테이너 이미지
6. 배포 (Deploy)
배포 환경
- Development: 개발자 테스트
- Staging: 운영과 동일한 환경 테스트
- Production: 실제 서비스 환경
배포 전략
- Blue-Green: 두 환경 전환 배포
- Rolling: 점진적 인스턴스 교체
- Canary: 일부 트래픽만 신규 버전
주요 CI/CD 도구
Jenkins
오픈소스 CI/CD 플랫폼
- 플러그인 생태계 풍부
- Pipeline as Code (Jenkinsfile)
- 다양한 시스템 연동 가능
Jenkins 파이프라인 구성
- Jenkinsfile 작성 (Groovy 기반)
- 스테이지별 작업 정의
- 병렬 처리 및 조건부 실행
- 알림 및 승인 프로세스
GitHub Actions
GitHub 통합 CI/CD
- YAML 기반 워크플로우
- GitHub과 완벽 통합
- 풍부한 마켓플레이스
워크플로우 구성
- 이벤트 트리거 (push, PR, schedule)
- 매트릭스 빌드 (여러 환경 동시 테스트)
- 시크릿 관리
GitLab CI/CD
GitLab 내장 CI/CD
- .gitlab-ci.yml 파일로 설정
- Auto DevOps 기능
- 쿠버네티스 통합
클라우드 기반 도구
AWS CodePipeline
- AWS 서비스와 완벽 통합
- CodeCommit, CodeBuild, CodeDeploy 연동
Azure DevOps
- 마이크로소프트 생태계 최적화
- Azure Pipelines, Repos, Artifacts
Google Cloud Build
- GCP 서비스와 연동
- 컨테이너 친화적
컨테이너 기반 CI/CD
Docker 활용
컨테이너화 장점
- 환경 일관성 보장
- 배포 단위 표준화
- 스케일링 용이
Dockerfile 최적화
- 멀티 스테이지 빌드
- 레이어 캐싱 활용
- 경량 베이스 이미지 사용
Kubernetes 배포
배포 전략
- Deployment를 통한 롤링 업데이트
- Service로 트래픽 라우팅
- ConfigMap/Secret으로 설정 관리
GitOps
- Git을 통한 배포 상태 관리
- ArgoCD, Flux로 자동 동기화
- Infrastructure as Code
모니터링과 피드백
배포 모니터링
핵심 지표
- 배포 성공률
- 배포 시간 (Lead Time)
- 평균 복구 시간 (MTTR)
- 배포 빈도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모니터링 도구
- Prometheus + Grafana: 메트릭 수집/시각화
- ELK Stack: 로그 분석
- Jaeger: 분산 추적
알림 시스템
- 배포 실패 시 즉시 알림
- 성능 이상 감지
- Slack, 이메일, SMS 연동
보안 통합 (DevSecOps)
시프트 레프트 보안
개발 단계 보안 검사
- SAST (Static Application Security Testing)
- 의존성 취약점 스캔
- 시크릿 스캔
컨테이너 보안
- 베이스 이미지 취약점 스캔
- 런타임 보안 모니터링
- 이미지 서명 및 검증
인프라 보안
- Infrastructure as Code 보안 스캔
- 네트워크 정책 적용
- 접근 권한 최소화
실무 구축 가이드
1단계: 기본 CI 구축
목표: 코드 커밋 시 자동 빌드/테스트
- Git 리포지토리 설정
- 기본 빌드 스크립트 작성
- 단위 테스트 자동화
- 빌드 상태 알림
2단계: 품질 게이트 추가
목표: 코드 품질 보장
- 정적 분석 도구 통합
- 코드 커버리지 임계값 설정
- 보안 스캔 추가
- 품질 기준 미달 시 빌드 실패
3단계: 자동 배포 구현
목표: 스테이징 환경 자동 배포
- 배포 스크립트 작성
- 환경별 설정 관리
- 스모크 테스트 추가
- 롤백 메커니즘 구현
4단계: 프로덕션 배포
목표: 안전한 프로덕션 배포
- 승인 프로세스 추가
- Blue-Green 또는 Canary 배포
-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
- 자동 롤백 조건 설정
모범 사례
파이프라인 설계 원칙
빠른 피드백
- 빠른 테스트를 먼저 실행
- 병렬 처리로 시간 단축
- 실패 시 즉시 중단
안정성
- 단계별 검증
- 롤백 계획 수립
- 의존성 최소화
팀 문화
자동화 우선
- 수동 작업 최소화
- 반복 작업 자동화
- 에러 프론 프로세스 제거
책임 공유
- 개발팀도 배포 책임
- 운영팀도 개발 프로세스 참여
- 장애 대응 공동 책임
성능 최적화
빌드 시간 단축
- 캐싱 적극 활용
- 불필요한 스텝 제거
- 병렬 처리 최적화
리소스 효율성
- 적정 크기 빌드 에이전트
- 스케줄 기반 리소스 관리
- 클라우드 탄력적 확장
문제 해결
일반적인 문제점
빌드 실패
- 환경 차이로 인한 실패
- 의존성 버전 충돌
- 테스트 데이터 이슈
배포 실패
- 환경 설정 차이
- 네트워크 연결 문제
- 권한 문제
해결 방법
표준화
- 컨테이너 사용으로 환경 통일
- Infrastructure as Code
- 설정 중앙 관리
모니터링
- 상세한 로그 수집
- 단계별 상태 추적
- 성능 지표 모니터링
CI/CD는 개발 생산성과 배포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현대적 개발 방식의 핵심입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비교하기 (6) | 2025.08.18 |
---|---|
웹 성능 최적화 기법 가이드 (3) | 2025.08.18 |
빅데이터 처리 기법 핵심 가이드 (2) | 2025.08.17 |
백엔드 개발 로드맵 (10) | 2025.08.17 |
HTTPS 보안 구현법 완전 가이드 (7) | 202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