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정보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가이드

by 오늘의 테크 2025. 8. 19.

클라우드 비용 구조 이해

주요 비용 요소

컴퓨팅 (Compute)

  • 인스턴스 타입 및 크기
  • 운영 시간 (On-Demand vs Reserved)
  • CPU, 메모리, 네트워크 성능

스토리지 (Storage)

  • 용량 기반 요금 (GB/월)
  • IOPS 및 처리량
  • 데이터 접근 빈도별 계층

네트워크 (Data Transfer)

  • 아웃바운드 트래픽 (인터넷으로 나가는 데이터)
  • 리전 간 데이터 전송
  • CDN 사용량

관리형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RDS, DynamoDB)
  • 로드 밸런서, API Gateway
  • 컨테이너 서비스 (ECS, EKS)

비용 모델

On-Demand: 시간당 고정 요금 (가장 비쌈) Reserved Instance: 1-3년 약정 (30-70% 할인) Spot Instance: 경매 방식 (최대 90% 할인) Savings Plans: 시간당 사용량 약정 (유연한 할인)

컴퓨팅 비용 최적화

인스턴스 사이징

Right-sizing: 실제 사용량에 맞는 인스턴스 선택

  • CPU 사용률 평균 70-80% 목표
  • 메모리 사용률 80% 이하 유지
  • 과도한 스펙은 비용 낭비

인스턴스 타입 최적화

  • 범용 (t3, m5): 일반적인 워크로드
  • 컴퓨팅 최적화 (c5): CPU 집약적
  • 메모리 최적화 (r5): 인메모리 DB, 캐시
  • 스토리지 최적화 (i3): 고성능 DB

예약 인스턴스 활용

Reserved Instance (RI)

  • 1년: 약 40% 할인
  • 3년: 약 60% 할인
  • 안정적인 워크로드에 적용

Savings Plans

  • Compute Savings Plans: 66% 할인
  • EC2 Instance Savings Plans: 72% 할인
  • 약정 금액 기준으로 유연성 제공

스팟 인스턴스 활용

적합한 용도

  • 배치 처리, 데이터 분석
  • CI/CD 파이프라인
  • 개발/테스트 환경
  • 내결함성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스팟 플릿 전략

  • 다양한 인스턴스 타입 조합
  • 여러 AZ에 분산 배치
  • 스팟 인터럽션 대응 로직

스토리지 비용 최적화

S3 스토리지 클래스

Standard: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 Standard-IA: 한 달에 1-2회 액세스 One Zone-IA: 단일 AZ, 더 저렴 Glacier: 장기 아카이브 (분-시간 복구) Glacier Deep Archive: 초장기 보관 (12시간 복구)

라이프사이클 정책

자동 계층화 예시

  • 30일 후: Standard → Standard-IA
  • 90일 후: Standard-IA → Glacier
  • 365일 후: Glacier → Deep Archive
  • 7년 후: 자동 삭제

스토리지 최적화 기법

불완전한 멀티파트 업로드 정리

  • 실패한 업로드로 인한 비용 누수 방지
  • 라이프사이클 정책으로 자동 정리

중복 데이터 제거

  • 동일한 파일 업로드 방지
  • 해시 기반 중복 검사

압축 활용

  • 텍스트 파일 gzip 압축
  • 이미지 최적화 (WebP, AVIF)

네트워크 비용 최적화

데이터 전송 최적화

CDN 활용 (CloudFront)

  • 정적 콘텐츠 엣지 캐싱
  • 동적 콘텐츠 가속화
  • 오리진으로의 트래픽 감소

리전 선택

  • 사용자와 가까운 리전 선택
  • 리전 간 데이터 전송 최소화
  • 데이터 중력 고려 (데이터가 있는 곳에서 처리)

대역폭 최적화

압축 및 최적화

  • Gzip, Brotli 압축 활성화
  • 이미지 크기 최적화
  •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제거

캐싱 전략

  • 브라우저 캐싱 설정
  • CDN 캐싱 정책 최적화
  • 애플리케이션 레벨 캐싱

자동 스케일링

Auto Scaling 그룹

예측 스케일링

  • 과거 패턴 기반 사전 스케일링
  • 정기적인 트래픽 패턴 대응
  • 스케일 아웃 지연 시간 단축

타겟 추적 스케일링

  • CPU 사용률 70% 목표
  • 메모리 사용률 기반 스케일링
  • 커스텀 메트릭 활용

컨테이너 스케일링

Kubernetes HPA

  • CPU/메모리 기반 자동 스케일링
  • 커스텀 메트릭 (큐 길이, 응답 시간)
  • VPA로 리소스 요청량 자동 조정

AWS Fargate

  • 서버리스 컨테이너 실행
  • 사용한 리소스만큼만 비용 지불
  • 관리 오버헤드 제거

서버리스 아키텍처

Lambda 함수 최적화

메모리 사이징

  • 실행 시간과 메모리의 균형점 찾기
  • 128MB~10GB 범위에서 최적값 선택
  • 프로비저닝된 동시성 활용

콜드 스타트 최적화

  • 런타임 선택 (Node.js, Python 빠름)
  • 패키지 크기 최소화
  • 연결 풀링 활용

서버리스 서비스 활용

API Gateway: 서버 없는 API 엔드포인트 DynamoDB: 서버리스 NoSQL 데이터베이스 S3 + Lambda: 이벤트 기반 처리 Step Functions: 서버리스 워크플로우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RDS 최적화

인스턴스 클래스 선택

  • 범용 (db.t3): 기본 워크로드
  • 메모리 최적화 (db.r5): 인메모리 처리
  • 버스터블 성능 (db.t3): 가변적 워크로드

스토리지 최적화

  • gp3: 최신 범용 SSD (비용 효율적)
  • 프로비저닝된 IOPS: 고성능 필요 시
  • 자동 백업 보존 기간 최적화

DynamoDB 최적화

온디맨드 vs 프로비저닝

  • 예측 불가능한 트래픽: 온디맨드
  • 안정적인 트래픽: 프로비저닝 (더 저렴)
  • Auto Scaling으로 중간 지점

데이터 모델링

  • 단일 테이블 설계로 조인 비용 절감
  • GSI 수 최소화
  • 핫 파티션 방지

모니터링과 비용 관리

비용 가시성

Cost Explorer

  • 월별/일별 비용 분석
  • 서비스별 비용 분해
  • 예측 및 트렌드 분석

Cost and Usage Report

  • 상세한 비용 및 사용량 데이터
  • S3에 저장 후 분석 도구 연동
  • 태그 기반 비용 추적

예산 및 알림

예산 설정

  • 월간 예산 한도 설정
  • 서비스별 예산 분리
  • 프로젝트/부서별 예산 관리

알림 설정

  • 예산 80% 도달 시 경고
  • 이상 비용 증가 감지
  • 일일 비용 리포트

태깅 전략

일관된 태깅

{
  "Environment": "Production",
  "Project": "WebApp",
  "Team": "Backend",
  "CostCenter": "Engineering",
  "Owner": "john.doe@company.com"
}

자동 태깅

  • 리소스 생성 시 자동 태그 적용
  • 태깅 정책 강제 적용
  • 미태그 리소스 자동 감지

클라우드별 최적화 전략

AWS 비용 최적화

AWS Cost Optimization Hub

  • 개인화된 권장사항 제공
  • 실행 가능한 최적화 기회 식별
  • ROI 계산 및 우선순위 제공

Trusted Advisor

  • 비용 최적화 검사
  • 보안 및 성능 권장사항
  • 리소스 사용률 분석

Azure 비용 최적화

Azure Advisor

  • 비용 권장사항 제공
  • 유휴 리소스 식별
  • 예약 인스턴스 권장

Azure Cost Management

  • 비용 분석 및 예산 관리
  • 차지백 및 쇼백 기능
  • 비용 할당 규칙

Google Cloud 비용 최적화

Recommender

  • 머신러닝 기반 권장사항
  • 사용률 기반 인스턴스 크기 조정
  • 유휴 리소스 감지

Billing Export

  • BigQuery로 비용 데이터 분석
  • 커스텀 대시보드 구성
  • 고급 비용 분석

FinOps 문화 구축

조직 체계

FinOps 팀 구성

  • 재무, IT, 엔지니어링 협업
  • 비용 최적화 KPI 설정
  • 정기적인 비용 리뷰 미팅

책임 분산

  • 개발팀: 리소스 사용 최적화
  • 운영팀: 인프라 효율성
  • 재무팀: 예산 관리 및 분석

프로세스 개선

비용 인식 제고

  • 개발자 대상 비용 교육
  • 실시간 비용 피드백
  • 비용 효율성 지표 공유

지속적 최적화

  • 월간 비용 리뷰
  • 분기별 최적화 목표 설정
  • 연간 아키텍처 재평가

실무 적용 가이드

즉시 적용 가능한 방법

  1. 유휴 리소스 제거: 사용하지 않는 인스턴스, 볼륨 삭제
  2. 인스턴스 right-sizing: 과도한 스펙 다운사이징
  3. 예약 인스턴스 구매: 안정적 워크로드에 RI 적용
  4. 스토리지 라이프사이클: S3 자동 계층화 설정
  5. 태깅 정책: 비용 추적을 위한 태그 표준화

중기 최적화 계획

  1. Auto Scaling 구현: 수요에 따른 자동 확장/축소
  2. 서버리스 전환: 적합한 워크로드 서버리스화
  3. 멀티 클라우드 전략: 최적 비용의 클라우드 선택
  4. 컨테이너화: 리소스 효율성 향상
  5. 모니터링 고도화: 실시간 비용 추적 시스템

장기 전략

  1.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완전한 클라우드 최적화
  2. FinOps 문화 정착: 조직 전체 비용 의식 확산
  3. 자동화 고도화: AI/ML 기반 비용 최적화
  4. 아키텍처 재설계: 비용 효율적 아키텍처 구축

비용 최적화 체크리스트

월간 점검 항목

  • [ ] 유휴 리소스 식별 및 제거
  • [ ] 인스턴스 사용률 분석 (CPU, 메모리)
  • [ ] 예산 대비 실제 비용 분석
  • [ ] 예약 인스턴스 갱신 검토
  • [ ] 스토리지 사용량 및 계층화 상태 확인

분기별 점검 항목

  • [ ] 아키텍처 최적화 기회 검토
  • [ ] 새로운 서비스 도입 ROI 분석
  • [ ] 태깅 정책 준수율 확인
  • [ ] 비용 할당 및 차지백 정확성 검토
  • [ ]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최적화

연간 점검 항목

  • [ ] 전체 아키텍처 비용 효율성 평가
  • [ ] 멀티 클라우드 전략 검토
  • [ ] FinOps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 [ ] 팀별 비용 최적화 성과 분석
  • [ ] 차년도 비용 최적화 로드맵 수립

성공 사례

일반적인 절감 효과

인스턴스 최적화: 20-40% 비용 절감 예약 인스턴스: 30-60% 할인 스팟 인스턴스: 70-90% 할인 스토리지 최적화: 40-70% 절감 네트워크 최적화: 15-30% 절감

ROI 측정

절감 금액 계산

  • 최적화 전후 비용 비교
  • 시간당/월간 절감액 산출
  • 연간 총 절감 효과 추정

투자 대비 효과

  • 최적화 작업 소요 시간
  • 도구 및 교육 비용
  • 순 절감 효과 (ROI)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조직 전체의 협력이 필요합니다.